판도라TV는 여러분이 서비스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다 안전하고 사용자분들의 권리가 존중되고 보호 받기 위해선 여러분의 도움과 협조가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안전한 서비스 이용과 권리 보호를 위해 부득이 아래와 같은 운영정책 방안을 실시하게 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 부탁 드립니다.
투명성의 개선을 위해 판도라TV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약관이 변경됩니다.
변경되는 내용을 간략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비공개, 미게시 영상에 대한 운영방안 변동
영상을 비공개 혹은 미게시로 업로드할 경우
업로드 일로부터 30일 후, 영상이 여전히 비공개 혹은 미게시로 설정되어 있을 시 해당 영상을 삭제 진행 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합니다.
새로운 약관은 2020년 1월 6일부터 적용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판도라TV 이용약관(제 13조 서비스 이용제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비공개, 미게시 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신 유저들께서는 가능한 1월 6일 이내에 영상을 공개 혹은 정리 진행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저희 판도라TV는 좀 더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기업기상도 코로나도 못막은 기업 vs 역풍에 흔들린 기업 앵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기업들이 두 부류로 갈리고 있습니다. 다수의 어려운 기업, 그리고 이 사태가 오히려 기회가 된 기업인데요. 실적과 주가로 웃은 곳, 또 악재에 힘든 곳들,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 ...
기업기상도 코로나도 못막은 기업 vs 역풍에 흔들린 기업
앵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기업들이 두 부류로 갈리고 있습니다.
다수의 어려운 기업, 그리고 이 사태가 오히려 기회가 된 기업인데요.
실적과 주가로 웃은 곳, 또 악재에 힘든 곳들,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
김종수 기자입니다.
기자
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
한낮 열기가 뜨거운 휴가철입니다.
외국도 못가고 국내도 붐비는 곳 피하려니 차에서 숙박을 해결하는 '차박'이 대세라죠.
덕분에 관련 기업들이 웃는데요.
어떤 상황이 오든 뜨는 기업은 있게 마련임을 깨달으며 이번 주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
먼저 삼성전자입니다.
코로나 불황 무색하게 예상 훌쩍 뛰어넘는 실적으로 시장 놀라게 했습니다.
남들 다 죽 쑤는 이때 2분기 영업이익이 8조1,000억원으로 되레 22%나 늘었죠.
증권가 평균 전망치가 6조원대 중반, 가장 크게 예상한 곳도 7조원대 중반인데 반도체가 날고 모바일, 가전이 뛰어 놀라운 결과 얻어낸 겁니다.
같은 날 발표한 LG전자도 예상 넘는 4,000억원대 이익 냈습니다.
다들 3분기가 걱정이라는데 또 전망치 넘는 실적 기대해보겠습니다.
다음도 코로나 사태에도 웃는 카카오, 엔씨소프트입니다.
핵심 비대면주로 뜨면서 주가가 하염없이 오릅니다.
'언택트' 직접 안보고 일 해결하는 게 시대의 대세죠.
카카오가 그 핵심이 됐습니다.
주가가 코로나 사태 시작 때 두 배를 넘으며 시가총액 30조원대로 전체 증시 7, 8위 오갑니다.
'게임대세' 엔씨소프트도 같은 기간 60만원 전반대에서 90만원대로 치솟아 역시 '톱10' 넘봅니다.
외환, 금융위기 때는 원화가치 급락으로 수출기업이 경제회복 주도했죠.
이번엔 언택트 기업이 그 짐을 잘 져줄 수 있을지에 한국의 미래가 달렸습니다.
이제 흐린 기업입니다.
첫 흐린 기업 대한항공입니다.
위기 넘으려 서울 한복판 땅 팔려던 계획 막히는 바람에 기내식, 기내 면세점 팔러 나섰습니다.
울며 겨자먹기입니다.
6,000억원 기대헀던 서울 송현동 땅이 서울시의 공원화 방침에 매수자가 사라진 탓입니다.
기내식, 기내 면세품 판매는 수익률 높은 알짜사업입니다.
과거 오너일가 관여 사업이란 것만 봐도 딱 보이죠? 기내식 사업만 1조원이란 관측 나올 정도입니다.
계획대로 사모펀드에 팔면 회사는 위기 넘을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직원들 일자리와 기내식 질은 보장이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조원태 회장님, 이건 잘 아시죠?
이번엔 롯데마트입니다.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1+1'판촉행사비 문제로 공정거래위원회 제재받았습니다.
'1+1' 소비자는 좋지만 납품기업은 죽을 맛입니다.
그래서 '슈퍼갑'대형마트 요구 아니면 안합니다.
비용 떠 안기 때문이죠.
그래서 분담비율 사전 서면약정이 의무인데 이거 안했다 시정명령, 과징금 2억2,000만원 받았습니다.
기업기상도 코로나도 못막은 기업 vs 역풍에 흔들린 기업 앵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기업들이 두 부류로 갈리고 있습니다. 다수의 어려운 기업, 그리고 이 사태가 오히려 기회가 된 기업인데요. 실적과 주가로 웃은 곳, 또 악재에 힘든 곳들,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 ...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