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도라TV는 여러분이 서비스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다 안전하고 사용자분들의 권리가 존중되고 보호 받기 위해선 여러분의 도움과 협조가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안전한 서비스 이용과 권리 보호를 위해 부득이 아래와 같은 운영정책 방안을 실시하게 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 부탁 드립니다.
투명성의 개선을 위해 판도라TV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약관이 변경됩니다.
변경되는 내용을 간략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비공개, 미게시 영상에 대한 운영방안 변동
영상을 비공개 혹은 미게시로 업로드할 경우
업로드 일로부터 30일 후, 영상이 여전히 비공개 혹은 미게시로 설정되어 있을 시 해당 영상을 삭제 진행 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합니다.
새로운 약관은 2020년 1월 6일부터 적용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판도라TV 이용약관(제 13조 서비스 이용제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비공개, 미게시 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신 유저들께서는 가능한 1월 6일 이내에 영상을 공개 혹은 정리 진행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저희 판도라TV는 좀 더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명품리포트 맥 앵커 그간 뉴스를 독식해온 북미회담과 지방선거가 각각 성공적 첫 걸음 떼기와 여당의 싹쓸이로 마무리됐습니다. 이제는 어려운 경제를 살펴야 할 때인데요. 성공적으로 한 주를 보냈던 기업, 또 그렇지 못했던 기업들, 기업기상도 통해 살펴보시죠. 김종수 기자입니다. ...
명품리포트 맥
앵커
그간 뉴스를 독식해온 북미회담과 지방선거가 각각 성공적 첫 걸음 떼기와 여당의 싹쓸이로 마무리됐습니다.
이제는 어려운 경제를 살펴야 할 때인데요.
성공적으로 한 주를 보냈던 기업, 또 그렇지 못했던 기업들, 기업기상도 통해 살펴보시죠.
김종수 기자입니다.
기자
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
북미회담, 지방선거에 어떻게 갔는지도 모른 한 주 였습니다.
결과에 환호하는 분들 많이 있겠지만 경제는 안좋은 지표에 미국 금리 인상, 보호무역 확산까지 겹쳐 한치 앞이 안보입니다.
이 상황을 기업들은 어떻게 헤쳐나왔을까요?
먼저 인천공항공사입니다.
한반도 긴장완화의 큰 혜택을 볼 전망입니다.
동북아 허브공항 지향하는 인천공항에 큰 무기 하나 생길 것 같습니다.
북한 영공개방입니다.
이미 남북이 대체적 협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 항로 뚫리면 유럽, 미주 가는 시간과 돈 줄어듭니다.
인천공항 이용하는 외국 비행기가 50% 늘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
북한이 국제민간항공기구에 남한 통과 항로 제안한 걸 보면 김칫국부터 마시는 것 같진 않습니다.
활로 필요한 한국 경제, 남북경협으로 돌파구 꼭 만들어야 합니다.
다음은 대우조선해양입니다.
회사 무너질까 걱정하던게 엊그제 같은데 활로가 보입니다.
연임한 정성립 사장이 밝힌 건데요.
올해 수주목표 73억 달러 중 44억 달러 달성했구요.
현재 물량으로도 2020년 3분기까지 일감이 있답니다.
현대, 삼성중공업이 일감 부족으로 수천명 유휴인력 발생했는데 말이죠.
장밋빛만은 아닙니다.
내년 초 채권단과 약속한 인력 구조조정 기다리고 있는데 수주 대풍으로 없던 일 돼야 진짜 성과입니다.
이제 흐린 기업입니다.
까도까도 또 나오는 한진, 이번엔 총수일가 회사 정석기업 회삿돈 유용문제가 불거졌습니다.
경찰이 조양호 회장과 이 회사 대표를 배임혐의로 입건했습니다.
회삿돈으로 경비인력 고용해놓고 일은 회장집에서 시켰다는 겁니다.
정석기업과 계약했는데 회장집 일하게 된 경비 노동자들이 불법파견 근로감독을 요청하면서 불거졌습니다.
조 회장은 앞서 집 고치는데 회삿돈 30억원 쓴 혐의로도 수사받았죠.
본인지분 많으면 회삿돈을 자기 걸로 착각하는 회장, 사장님들 많은데요, 그거 범죄입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 대림기업입니다.
다른 업종 두 회사가 묶인 이유는 핵문제로 이란에서의 사업이 벽에 부딪혔기 때문입니다.
현대차 현지 조립업체가 현대차 예약한 이란 고객들에게 차를 못내줄 수 있다고 밝히면서 현대차 철수설이 불거졌습니다.
이란과 핵 합의 파기한 미국이 제재 나서려하자 그런다는 이야기가 퍼졌습니다.
현대차는 아직 가타부타 말이 없습니다.
한 주전엔 같은 문제로 대림산업이 2조원대 공사계약을 해지했습니다.
여러나라가 합의한 것을 놓고 이제와서 안된다는 미국, 북한 문제에서도 벌써 지원부담은 한국에 떠넘기더니 돈 든다며 미군 빼고 싶다죠?
참 여러모로 힘듭니다.
이번엔 은행권입니다.
엿장수 맘대로식 가산금리로 새 금융감독원장님한테 야단맞았습니다.
직접 불러 호통친 건 아니지만 은행들 금리산정방식 보고받은 윤석헌 금감원장이 "합리성이 없다"고 꼬집었습니다.
더 낮은 금리 대상인 사람에 최고금리 물리고, 이런저런 핑계로 인정소득 깎아 신용도 낮다고 금리 올린 사례까지 들통났습니다.
은행들 작년도 떼돈 벌었는데 1분기 6대 시중은행 순익 또 15% 늘었습니다.
은행장님들, 사정이 이런데 이건 좀 치사하다는 생각 안드세요?
마지막은 가맹점 제일 많은 커피점 이디야입니다.
'페미니스트 해고'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지난달 한 가맹점 아르바이트 직원이 근무시간 때문에 페미니스트 집회에 못갔다고 이야기했답니다.
그러자 점주가 "근무시간 바꿔 가지 그랬냐"고 하더니 나중에 월말까지만 나오라고 했다죠.
본사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한 분기 판촉지원 중단을 결정했습니다.
마음에 안들 수는 있어도 해고는 일하는데 실제 문제가 있을 때나 할 수 있습니다.
이디야, 얼마 전엔 한진가 딸 자매 점포 때문에 구설 오르더니 점포가 많아 그런가 바람이 잦죠?
지방선거 결과로 이른바 'J노믹스'가 힘 받게 됐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당장, 부동산 보유세가 그 우선 순위로 꼽힙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정치적 명분이 아니라 경제살리기 성과입니다.
시간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명품리포트 맥 앵커 그간 뉴스를 독식해온 북미회담과 지방선거가 각각 성공적 첫 걸음 떼기와 여당의 싹쓸이로 마무리됐습니다. 이제는 어려운 경제를 살펴야 할 때인데요. 성공적으로 한 주를 보냈던 기업, 또 그렇지 못했던 기업들, 기업기상도 통해 살펴보시죠. 김종수 기자입니다. ...
댓글(0개)